[CEO풍향계] '합병에 올인' 조원태…'구조조정 없다' 김동관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한 주간 기업 CEO들 동향을 살펴보는 'CEO풍향계' 시간입니다.<br /><br />이번주에는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과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 이야기를 김종력, 이은정 기자가 전해드립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조원태 한진그룹 회장.<br /><br />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합병을 무조건 성사시키겠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최근 미국 블룸버그TV, CNN 등과 인터뷰한 조 회장.<br /><br />"양사 합병에 100% 올인하고 있다"며 "합병 성공을 위해 끝까지 밀고 나갈 것"이라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조 회장은 "생각보다 더 많은 것을 포기해야 하느냐"는 질문도 받았는데요.<br /><br />이에 "그렇다"고 답하면서 "논의하고 협상할 의향이 있으며, 무엇을 포기하든 성사시킬 것"이라고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양사 합병은 최근 난기류에 휘말렸다는 평가입니다.<br /><br />미국과 유럽, 일본 등 3곳의 승인 심사만 남은 상황에서 미국과 유럽이 합병시 독점이 우려된다는 부정적 입장을 내놨기 때문인데요.<br /><br />따라서 이번 발언은 합병을 위해 미국과 유럽, 일본 노선의 운수권과 특정 시간대 공항에 이·착륙할 권리인 슬롯을 어느 정도 양보할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.<br /><br />새 가족이 된 한화오션에서 인위적 구조 조정은 없을 거라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김 부회장은 최근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'국제해양방위산업전 2023'현장을 찾았습니다.<br /><br />새롭게 그룹에 합류한 한화오션을 비롯해 한화에어로스페이스, 한화시스템 등의 전시관을 찾아 직원들을 격려했죠.<br /><br />역시 관심은 한화오션에 쏠렸는데요.<br /><br />김 부회장은 "잠수함 분야에서 세계 최고의 기술력을 갖췄을 뿐 아니라 수상함 분야에서도 역사와 기술력을 갖고 있다는 강점이 잘 드러난 것 같다"고 전시관을 평가했습니다.<br /><br />이어 김 부회장은 "한화오션에서 인위적인 구조조정 계획은 없으며, 어쩔 수 없이 조직을 떠난 분들을 다시 모으고 추가 채용으로 나아갈 단계"라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김 부회장은 방산 기업 한화의 미래 비전도 공개했는데요.<br /><br />"단순한 이윤 추구보다는 국가 안보를 책임지고, 한국의 방산 역사를 확대해나가는 데 중점을 두겠다"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신동빈 롯데그룹 회장.<br /><br />글로벌 소비재 회사 경영진을 만나 2030년 엑스포 후보 도시 부산을 적극 홍보했습니다.<br /><br />신 회장은 최근 일본 교토에서 열린 '소비재 포럼 글로벌 서밋'에 참석했습니다.<br /><br />이 자리에서 펩시코, 로레알, 까르푸 등 글로벌 기업 최고경영자들에게 부산의 매력과 엑스포 개최 역량을 소개했죠.<br /><br />또, 참관객들에게 부산의 매력을 생생하게 전달하기 위해 홍보 부스에 설치된 120인치 대형 스크린을 통해 부산엑스포 홍보 영상을 송출했습니다.<br /><br />롯데그룹은 전사 차원의 태스크포스를 꾸려 부산 엑스포 유치에 적극 나서고 있는데요.<br /><br />부산과 사업 연결 지점이 많은 기업인 만큼 롯데의 노력은 상생 측면에서도 긍정적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신 회장은 앞서 KLPGA투어 롯데오픈 대회장에서도 "롯데의 역량을 총동원해 부산엑스포의 성공적 유치를 지원하겠다"고 밝히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'월가의 황제'로 불리는 제이미 다이먼 JP모건 회장.<br /><br />5년 만에 한국을 찾았습니다.<br /><br />JP모건은 총자산 3조7,000억 달러, 약 4,800조원을 자랑하는 세계 최대 투자 은행입니다.<br /><br />다이먼 회장이 '월가의 황제'로 불리는 이유죠.<br /><br />다이먼 회장은 중국과 대만, 일본에 이어 우리나라를 찾아 1박2일 동안 머물렀는데요.<br /><br />짧은 체류기간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, 4대 금융그룹 회장을 만나는 바쁜 일정을 소화했습니다.<br /><br />다이먼 회장은 국내 금융인들과 국내·외 사업 협력 및 투자 파트너십 등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는데요.<br /><br />미중 갈등 상황에 우려를 표하면서도 양국간 경제 교류와 투자는 계속 이어져야 한다고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<br /><br />다이먼 회장은 지난 달 파산 위기에 처했던 퍼스트리퍼블릭은행을 전격 인수해 은행 위기설을 잠재운 바 있죠.<br /><br />이처럼 세계 최대 투자은행을 이끌면서도 공적 역할도 마다하지 않아 최근 미국 정재계에선 다이먼 회장이 차기 대통령 선거에 출마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세계은행이 올해 중국의 경제성장률을 5.6%로 예측했습니다.<br /><br />중국의 경제활동 재개에 기대감을 보이며 지난 1월 전망치보다 1.3%P 높인 건데요.<br /><br />경기 침체 극복을 위해 다이먼 회장의 말처럼, 경제분야에서는 대중관계를 실용적으로 접근해야 하지 않을까요.<br /><br />지금까지 CEO풍향계였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